[보도자료]국민생활과학자문단 출범, 과기기관/단체 업무협약 체결 2017-12-14 | ||||||||||||||
---|---|---|---|---|---|---|---|---|---|---|---|---|---|---|
첨부파일
![]() |
||||||||||||||
★2017. 12. 15.(금) 조간(온라인 12. 14(목) 15: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과학기술계, 국민생활문제에 한걸음 더 다가간다
□ 국민의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위협하는 문제의 과학적 분석과 국민과의 적극적 소통을 위해 과학자들이 전면에 나선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 회장 김명자),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하 한림원, 원장 이명철),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연구회, 이사장 원광연), 한국과학창의재단(이하 창의재단, 이사장 박태현), 한국과학기자협회(회장 김진두)는 공동으로 12월 14일(목) 과학기술회관에서 ‘국민생활과학자문단’ 출범 및 ‘업무협약 체결식’을 개최하였다. □ 살충제 달걀, 유해 생리대, 그리고 최근의 포항 지진 등 국민생활을 위협하는 문제들이 더욱 복잡해 해지고, 때로는 과학적 사실관계에 대한 정확한 확인 없이 국민들의 불안감이 확산함에 따라, ㅇ 과학기술을 통한 문제의 근원적 해결책 모색과 이러한 문제에 대한 과학적 소통에 대해 국민들의 요구가 증대해 왔던 게 사실이다. ㅇ 이에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은 문제발생 초기부터 과학기술계가 적극적으로 나서 객관적인 사실과 정보를 확인하는 한편, - 평상시에도 사전 탐색연구와 대국민 포럼 등을 통해 각종 국민생활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도 제고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ㅇ 특히, 과학기술계의 권위 있는 기관들이 힘을 합쳐 자문단을 자율적으로 구성・운영함으로써 과학기술계에 대한 국민 기대에 부응하고, 활동의 객관성과 신뢰성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은 ① 먹거리 안전, ②질병(감염병 등) 안전, ③ 자연재해 안전, ④ 생활화학물질 안전, ⑤ 환경 안전, ⑥ 교통·건설 안전, ⑦ 사이버 안전 등 7개 분과로 구성되었으며, ㅇ 각 분과 위원장은 과학기술 한림원과 과총, 연구회 및 유관 정부기관의 추천 등을 거쳐 ▲ 정진호 서울대 교수(먹거리 안전), ▲ 김우주 고려대 교수(질병 안전), ▲ 이희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자연재해 안전), ▲ 정은주 안전성평가연구소 책임연구원(생활화학물질 안전), ▲ 하경자 부산대 교수(환경 안전), ▲ 김진근 카이스트 교수(교통·건설 안전), ▲ 류재철 충남대 교수(사이버 안전)가 위촉되었다. ㅇ 한편,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의 각 분과별로 유관 분야의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이 중점 지원기관으로 지정되어, 연구시설 및 인력 등을 지원하기 위한 원활한 협조체계도 구축되었다. * 분과별 중점 지원 출연(연) 지정 현황
□ ‘국민생활과학자문단’ 위촉식에 이어 자문단의 운영 및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 5개 기관/단체 간 업무협약(MoU) 체결식이 진행되었으며, ㅇ 과총 김명자 회장의 주재로 ‘국민생활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계 역할 강화 방안’에 대한 간담회도 이어졌다. □ 간담회를 통해 과총 김명자 회장은 “국민생활과학자문단 출범을 통해 과학기술계가 자발적으로 사회 현안 대응을 주도함으로써, 국민의 안전과 삶의 질을 위협하는 사회적 이슈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합리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사회적 신뢰 형성, 과도한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고, ㅇ 간담회에 참석한 정병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과학의 눈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국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과학기술계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은 이달 중으로 분과별 위원(각 15명 내외) 위촉을 통해 총 100여 명 규모로 구성을 완료할 예정이며, ㅇ 국민들에게 보다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국민생활과학자문단’ 브랜드 공모도 사이언스 올(www.scienceall.com) 및 참여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12월 14일부터 12월 25일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2. 국민생활과학자문단 구조 및 분과 구성(안) 1부. 3. 업무협약서 1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