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검색

서브메뉴영역

본문영역

과학기술계소식

과학기술계소식상세정보
상식 뒤엎는 혼란의 연속 2005-12-28 16:23:57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작성자 : null
  • tweeter
  • facebook
황우석(黃禹錫) 서울대 석좌교수 연구팀의 2005년 사이언스 게재 논문의 진위를 둘러싼 논란 및 보도는 언론학의 연구 사례가 될 만한 사안이었다. 언론이 극적 반전을 거듭하는 사건에 휩쓸려 혼란을 가중시킨 측면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 언론의 의제 설정 및 취재시스템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본보는 이번 사건이 불거진 뒤 ‘언론기관이 과학적 진위를 자체 검증하기 힘든 만큼 의혹을 부풀리는 보도를 자제한다’는 기본 방침을 갖고 관련자들 간에 서로 다른 주장의 논리적 모순 등을 집중적으로 추적 보도했다. 섣부른 특종 경쟁보다는 정확한 보도를 통해 독자의 궁금증을 풀어 줘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접근한 것이다. 그러나 되돌아보면 상식의 저항, 국익에 대한 고려, 여론 향배 등의 영향으로 사건의 실체 접근에 있어 미흡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 
 
▽상식의 저항과 국익에 대한 고려=MBC PD수첩이 지난달 22일 ‘황우석 신화의 난자 의혹’을 방송한 뒤 초기 취재는 소극적이었다. 설령 난자 제공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해도 세계적인 과학전문지와 학자 등이 인정한 황 교수팀의 과학적 업적 자체가 ‘무화’될 수준은 아니며 법과 제도가 미비한 한국적 상황을 고려할 때 황 교수에게만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상식선의 저항이 있었던 것.
 
윤리 문제를 국익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었다. ‘한국적 정서와 서구 윤리 잣대의 충돌’(11월 24일자 A7면)은 이런 기류를 반영한 것이다. 당시 PD수첩의 궁극적인 문제 제기는 배아줄기세포의 진위라는 사실이 일부 알려지기는 했지만 이 또한 “황 교수 연구가 사실무근일 수 있는가”라는 상식의 저항에 부닥쳐 추적 취재에 적극 나서지 못했다.

▽여론의 폭풍=PD수첩의 난자 윤리 문제 지적은 즉각 MBC에 대한 반감으로 표출됐다. 황 교수가 윤리 문제에 책임을 지고 공직에서 물러난다는 기자회견을 갖자 누리꾼(네티즌)을 중심으로 ‘PD수첩 광고 철회 요구’ 역풍이 불었다.
 
본보는 ‘황우석 지키기 거센 바람’(11월 26일자 1면) 기사를 통해 광고 취소, 난자 기증 운동 등 여론의 향배를 보도했다. 그러나 제3자의 압력으로 인한 광고 취소가 언론 자유를 침해할 위험성을 지적하지는 않았다.

▽권위에 대한 의존과 다면적 취재의 부족=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11월 27일 PD수첩이 황 교수팀 연구의 진위를 취재한다는 글을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린 뒤 논란의 초점은 본격적으로 ‘배아줄기세포의 진위’로 옮겨갔다. PD수첩 취재팀은 황 교수팀의 줄기세포 DNA 검사 결과, 2번 줄기세포의 DNA가 사이언스 논문에 실린 것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고 12월 2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밝혔다.
 
하지만 당시 보도는 PD수첩의 검사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비전문가인 방송이 과학을 검증할 수 없다는 논리가 지배적이었다. 본보도 ‘황우석 연구팀, 사이언스지 혹독한 검증 어떻게 통과했나’(11월 30일자 A5면)와 ‘PD수첩팀의 DNA 검증의 문제점’(12월 2일자 A5면) 등 PD수첩보다 사이언스가 인정한 황 교수의 연구 결과에 더 신뢰를 두었다.
 
이 과정에서 본보는 ‘PD수첩 조사가 과학적 오류’(12월 2일자 A1면), ‘방송이 과학 논문 검증하는 경우는 없어’(12월 5일자 A5면) 등 황 교수팀 관련자들의 발언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황 교수팀과 사이언스의 권위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바람에 PD수첩팀이 제기한 문제점이나 재검증을 거부한 황 교수팀 논리의 비과학성을 다른 학자들을 통해 확인, 보도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과학 보도의 지침 필요=일부 과학자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과학적 논문의 진위가 사회적 의제로 던져졌을 때 언론이 어떻게 보도해야 하는지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임경순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교수는 “논문 진위 등에 대한 최종 결론은 어차피 과학계의 검증으로 판결나는 만큼 언론이 섣불리 건드려서는 안 된다”며 “그러나 언론은 제기된 의혹에 대해 당사자나 과학계가 빨리 검증에 나서도록 촉구하고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취재 윤리 위반과 진위의 혼동=4일 YTN 보도를 통해 PD수첩팀이 김선종 연구원을 협박했다는 취재윤리 위반 사실이 드러났다. MBC는 즉각 사과문을 발표하고 이어 PD수첩 방송 중단, 관련자 징계 등의 대책을 내놓았다. 본보는 취재윤리 문제가 불거지자 김 연구원의 YTN 인터뷰를 비중 있게 보도하고 PD 저널리즘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취재윤리 위반과 논문의 진위는 별개의 사안임에도 취재윤리 위반이 알려진 이후는 PD수첩의 취재 내용을 불신하는 여론이 일었다. 본보도 ‘생물학 정보센터(BRIC)’ 홈페이지에서 젊은 생물학자들이 제기한 사이언스 논문에 게재된 줄기세포 사진의 중복 문제나 서울대 소장 교수들의 재검증 요구를 눈에 띄게 다루지 않았다.
 
중단됐던 PD수첩은 내년 1월 3일 방송을 재개한다. PD수첩이 제기한 사이언스 논문의 조작 사실이 대부분 확인되긴 했지만 이번 사건에서 드러난 취재원에 대한 회유와 협박, 몰래카메라 사용 등의 윤리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출처 : 동아일보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Main

사이트정보안내 및 카피라이터영역